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청년 적금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과 특별해지사유에 대해 알아보자

by 프레디오 2024. 6.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포스팅은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만기는 5년으로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어요.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이에요.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지원대상

청년도약계좌의 지원대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청년도약계좌는 계좌 개설일(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부터 만 34세 이하로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24개월 군생활을 했다고 하면 기준 나이에서 2년을 더하면 되겠죠?

 

 

선정기준

청년도약계좌의 선정기준으로는

 

개인소득요건이 있는데 직전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이하여야 하고,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와

 

가구소득요건으로 중위 250%이하여야 합니다.

 

중위소득 250%를 알아볼게요.

 

구분 중위소득 250%
1인가구 5,571,113
2인가구 9,206,523
3인가구 11,786,643
4인가구 14,324,783
5인가구 16,739,338

 

위 표와 같은 소득조건으로 보면 중위소득 250%는 많은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는 조건으로 알 수 있네요.

이자율

청년도약계좌의 이자율은 기본이율이 4.5%이고, 우대이율을 적용해서 최대 6%까지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비과세라서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 거죠.

 

이러한 이자에는 정부기여금이 포함되어 있어요.

 

아래 표를 보고 알 수 있어요.

개인소득 기준 정부기여금(월)
지급한도 매칭비율 한도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40만원 6.0% 24,000원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000원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200원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000원

 

소득기준에 따라서 정부기여금이 월별 나뉩니다.

 

신청방법

다음은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매월 취급은행 어플에서 신청을 받으면 

 

가입심사를 하는데 이게 2주 정도 소요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 및 가구소득 확인 세부절차(2주소요)

  1. 나이 및 개인소득을 확인하고
  2. 가구원 확정 및 정보제공 동의
  3. 가구소득확인
  4. 확인결과통보

 

이후 개좌개설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

 

 

유의사항

다음은 유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취급은행을 통틀어서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이 가능해요.

 

예를 들어

 

국민은행에서 해당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고 신한은행에서 다시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궁금한 점

1. 매월 70만 원씩 넣다가 어떤 달에는 급하게 돈이 쓸 데가 생겨서 30만 원으로 줄여서 넣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청년도약계좌는 금액변경이 가능해요. 정액적립식이 아니고 자유적립식 적금상품으로 1000원부터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금액을 조정해서 납입하면 됩니다.

 

 

2. 5년이 너무 긴 시간이라서 그 적금하는 동안 급히 돈이 필요해서 중도에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 중도에 해지하면 정부기여금이랑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은 없어져요. 하지만 청년들이 긴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계좌를 해지하는 경우에는 정부기여금이랑 이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또한, 3년 이상 계좌를 유지했다면 중도해지하더라도 기본금리 수준으로 적용되고, 정부기여금도 60% 수준으로

   수령하도록 개선됐다고 해요.

 

 

특별해지사유

위에 궁금한 점에서 특별해지 사유에 해당하면 정부기여금과 이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했는데

그러면 특별해지 사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특별해지사유: 퇴사, 폐업, 질병, 사망, 천재지변, 해외이주, 생애최초 주택구입, 결혼, 출산

 

이에 해당하면 이자 비과세 혜택과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네요!!

 

 

 

마지막으로 같이 적금금액에 대한 이자를 한번 알아보도록 할까요?



청년도약계좌 이자계산해 보기

월납입액 10만 원일 경우를 계산해 볼게요

 

연이자율 5.5% 일 경우

 

원금: 6,000,000원

원금에 대한 이자: 838,750원

정부기여금+이자: 326,325원

만기금액:  7,165,075원

 

으로 볼 수 있어요.

 

그러니까 10만 원을 5년 동안 매달 저축하면 원래 600만 원이 되는데

이게 정부기여금을 받아서 총 716만 5천 원이 되는 거네요.

 

와 정말 큰 금액이네요.


 

다음은 월납입액 20만 원일 경우를 계산해 볼게요

 

연이자율 마찬가지로 5.5%로 계산할게요.

 

원금: 12,000,000원

원금에 대한 이자: 1,677,500원

정부기여금 + 이자: 652,650원

만기금액: 14,330,150원

 

으로 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월납입액 70만 원일 경우에 대해서 계산해 볼게요.

 

연이자율은 똑같이 5.5%로 계산해요.

 

원금: 42,000,000원

원금에 대한 이자: 5,871,250원

정부기여금 + 이자: 1,572,913원

만기금액: 49,444,163원

 

 

 

 

 

 

청년을 위한 정책이니 청년들이 많이 알아보고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면 좋겠습니다.

무슨 일을 하든 시드머니를 확보해야 하니까요.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봤고, 다음 포스팅에서 찾아뵐게요~ 

 

감사합니다.